자료형

 자료형은 데이터를 표현하고 저장하는 자료에대한 종류이다.

그 종류의 기본은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void형(무치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자료형을 프로그래머가 알고리즘의 적당한 자료형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기본 자료형

기본적인 자료형은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void형(무치형)으로 나뉘어진다고 했다.

이러한 자료형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정수형

정수를 표현하는 자료형이다.

자료형 음수지원 여부 저장공간 크기 표현 범위
short 부호 있는 자료형(음수지원) 2 byte -2^15 ~ 2^15 -1
int 4 byte -2^31 ~ 2^31 -1
long 4 byte -2^31 ~ 2^31 -1
unsigned short

부호 없는 자료형

unsigned

2 byte 0 ~ 2^16 -1
unsigned int 4 byte 0 ~ 2^32 -1
unsigned long 4 byte 0 ~ 2^32 -1

 

2. 실수형

3.14, 1.2345 와 같은 실수를 표현하는 자료형이다.

자료형 크기  정수의 유효 자릿수
float 4 byte 6~7 자리
double 8 byte 15~16 자리
long double 8 byte 15~16 자리

 

3.문자형

문자형의 저장값은 실제로 정수값이고, 아스키 코드표에 의해 문자를 표현한다. 

자료형 크기 표현범위
char 1 byte -128 ~ 127
unsigned char 1 byte 0 ~ 255

 

4. void형 (무치형)

void는 영어로 '빈 공간' 이라는 뜻이다. void형은 말 그대로 텅 빈 공간이다, 아무런 자료형도 지정하지 않는 자료형, 함수의 반환값에 '반환값이 없다'라고 표현할때 주로 사용한다.

 


변수(variables)

 사람이 요리를 하기 위해서는 식재료들을 담을만한 접시와 최종적으로 나오는 음식에 대한 접시가 필요하다.

프로그래밍에서도 정수, 실수, 문자 등 여러가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필요로하는데,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변수(variables)라고한다. 변수에 고유한 이름이 붙여지고, 물리적으로 메모리에 위치한다.

자료형에 따라 변수에 저장되는 데이터값이 달라지고, 변수의 크기도 달라진다.

변수의 데이터값은 바뀔 수 있고, 마지막의 저장된 값이 유지된다.

 

변수

 

변수는 어떠한 종류의 데이터를 사용하고, 변수의 크기를 결정하는 자료형과, 변수의 이름을 붙여 변수를 사용하겠다고 알리는 변수선언을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1
2
3
4
5
6
int age; //변수선언문 (자료형 변수이름;)
 
age = 23//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대입문 (변수 = 데이터값;)
 
int year = 2019//변수 초기화
 

 

변수는 위에 첫번째 문장과 같이 선언하고, 선언된 변수에 두번째문장과 같이 데이터값을 저장한다.

두번째 문장의 '=' 는 오른쪽에 위치한 값을 왼쪽의 변수에 저장한다는 의미(수학에서 쓰는 같다라는 의미 아님)이고, 이를 대입연산자라 한다.

세번째 문장은 변수의 선언과 함께 변수의 데이터 초기값을 저장하는 문장이다. 이것을 변수의 초기화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