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program)
우리는 아침마다 스마트폰에서 알람을 통해 잠을 깨고, 학교를 가거나 출퇴근시간에 음악감상을 하거나, 학교나 직장에서 아래한글, Ms office를 이용해 문서작업을 한다. 우리가 일상속에서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앱이나 컴퓨터에서 문서작업하는 아래한글 등 이와 같은 것들이 프로그램이다. 즉 특정목적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관련 명령어나 파일들의 모임을 프로그램이라 한다.
프로그래밍 언어(programming language)
위에 설명한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필요하다.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가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에게 명령을 적절히 내려 프로그램을 만든다. 명령을 내리기 위해 프로그래머와 컴퓨터가 서로 대화를 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JAVA, C, C++, Python, Visual Basic, JAVAScript 등 사람들이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언어를 개발하였다. 우리는 그 중에서 C언어를 박살낼 것이다.
C
C언어는 1972년 데니스 리치가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운영체제 유닉스(UNIX)를 개발하기 위해 만들었고, 시스템의 세세한 부분까지 제어가능하며, 메모리 관리 기능을 갖고있어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실행속도가 빠르다.
C언어는 C++, C#, Objective-C 등 여러가지 프로그래밍 언어에 많은 영향을 끼쳐 많은 언어의 기본이 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고, 아직까지 사랑받고 있는 언어이다.
컴파일러
C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 필요한 것 중에 하나가 컴파일러이다. 컴퓨터는 전기적인 신호가 흐르는 1과 흐르지 않는 0으로 표현하는 기계어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컴퓨터와 C언어를 사용하는 우리가 서로 대화를 하기 위해서는 번역기가 필요하다. 이러한 번역기 역할을 하는 것이 컴파일러이다.
프로그램 구현 과정
프로그램 구현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소스 작성
2. 컴파일
3. 링크
4. 실행
1. 소스작성
소스작성은 C언어와 같이 프로그래밍 언어로 만들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명령어들을 텍스트파일로 작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소스작성을 코딩이라고도 하고, 만들어진 텍스트 파일을 소스파일 이라고 한다.
2. 컴파일
컴파일은 컴파일러가 소스파일에 작성된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계어로 바꾸어 주는 과정을 말한다.
컴파일러가 기계어로 바꾸면서 생성하는 파일을 목적파일(object file)이라고 한다.
3. 링크와 실행
링크는 하나 또는 여러가지의 목적파일을 연결하여 하나의 실행파일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링크라고 한다.
링크를 통해 만들어진 실행파일을 실행해보면 프로그램의 결과물을 볼 수있다.
'IT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기초 박살내기06 - 기본 입출력(printf(), scanf()) (0) | 2019.05.31 |
---|---|
C언어 기초 박살내기05 - 전처리 (0) | 2019.05.29 |
C언어 기초 박살내기04 - 자료형과 변수 (0) | 2019.05.27 |
C언어 기초 박살내기03 - 프로그램 기본 구조(골격) (0) | 2019.05.26 |
C언어 기초 박살내기02 - Visual Studio2019 설치 (0) | 2019.05.24 |